HOME
|
피부질환
|
약물정보
|
의료기정보
|
온라인상담
|
온라인예약
●
습진
●
두드러기
●
홍반
●
약진
●
소양증
●
구진 인설성 질환
●
피부 및 심재성 진균증
●
세균 감염성 질환
●
리켓치아
●
바이러스성 피부질환
●
성인성 질환
●
동물 기생충성 피부질환
●
피부결핵
●
과색소질환
●
탈색소질환
●
일광관련 피부질환
●
화상 동상
●
티눈
●
신생아 피부질환
●
결핍성 질환 및 대사이상
●
내과질환연관 피부질환
●
유전성 피부질환
●
수포성 질환
●
결합조직질환
●
피지선 질환
●
한선의 질환
●
피하지방의 질환
●
조갑의 질환
●
조갑 이영양증
●
모발질환
●
점막질환
●
표피 및 부속기의 모반과 종양
●
피부 전구암 피부암
●
멜라닌세포에서 유래한 모반 및 신생물
●
악성흑색종
●
진피 종양
●
혈관관련 모반 및 종양
●
피하지방 및 신경관련 종양
●
림프망상계 종양
●
족부백선(足部白癬, Tinea pedis
●
조갑백선(爪甲白癬, Tinea unguium)
●
체부 백선(體部白癬, Tinea corporis)
●
완선(頑癬, Tinea cruris, Crotch itch)
●
두부 백선(頭部白癬, Tinea capitis)
●
수부백선(手部白癬, Tinea manus)
●
백선진(白癬疹, Dermatophytid)
●
아구창(thrush)
●
구각구순염)
●
칸디다 간찰진
●
기저귀 칸디다증
●
귀두염 및 귀두포피염
●
칸디다성 외음질염(外陰膣炎)
●
전풍(Pityriasis)
●
말레쎄지아 모낭염(Malassezia folliculitis)
●
스포로트리쿰증(Sporotrichosis)
수부백선(手部白癬, Tinea manus)
정의>
수부에 생기는 피부사상균 감염이다.
원인 및 발병기전>
T.rubrum, T.mentagrophytes, E.floccosum, M.canis 및 M.gypseum 등이 주된 원인이다.
증상>
족부 백선에 병발하는 예가 많으며 각질층이 두꺼워져 족부 백선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난다.
각화형 백선은 흔히 한쪽 손과 양쪽 발에 함께 있어 이를 "one hand two feet disease" 라고 한다.
병리소견>
조직 검사에서 표피의 각질층 상부에서 분절된 균사가 관찰된다.
일부에서는 표피 내에서 해면화 피부염을 관찰 할 수 있다.
진단 및 감별진단>
KOH 도말검사와 진균 배양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감별할 질환으로는 접촉 피부염, 모공성 홍색 비강진, 2기 매독, 백선진, 한포진, 건선 등이 있다.
치료>
각질의 비후가 심하면 salicylic acid나 urea 연고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면서 각종 항진균제를 1일 2-3회씩 바른다.
발라서 좋아지지 않으면 itraconazole이나 terbinafine 항진균제를 4주간 복용하면서 진균 도말검사 혹은 진균 배양검사를 병행하여 그 경과를 관찰한다.
청담오라클피부과의원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612 한일빌딩 1층
연락처 1800-7588
1577-1175(가까운 오라클피부과로 연결됩니다)
Copyright ⓒ OracleClinic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