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하위 메뉴 바로가기
  • 글자크기
  • 글자확대
  • 글자축소
HOME | 피부질환 | 약물정보 | 의료기정보 | 온라인상담 | 온라인예약
로고
  • ● 습진
  • ● 두드러기
  • ● 홍반
  • ● 약진
  • ● 소양증
  • ● 구진 인설성 질환
  • ● 피부 및 심재성 진균증
  • ● 세균 감염성 질환
  • ● 리켓치아
  • ● 바이러스성 피부질환
  • ● 성인성 질환
  • ● 동물 기생충성 피부질환
  • ● 피부결핵
  • ● 과색소질환
  • ● 탈색소질환
  • ● 일광관련 피부질환
  • ● 화상 동상
  • ● 티눈
  • ● 신생아 피부질환
  • ● 결핍성 질환 및 대사이상
  • ● 내과질환연관 피부질환
  • ● 유전성 피부질환
  • ● 수포성 질환
  • ● 결합조직질환
  • ● 피지선 질환
  • ● 한선의 질환
  • ● 피하지방의 질환
  • ● 조갑의 질환
  • ● 조갑 이영양증
  • ● 모발질환
  • ● 점막질환
  • ● 표피 및 부속기의 모반과 종양
  • ● 피부 전구암 피부암
  • ● 멜라닌세포에서 유래한 모반 및 신생물
  • ● 악성흑색종
  • ● 진피 종양
  • ● 혈관관련 모반 및 종양
  • ● 피하지방 및 신경관련 종양
  • ● 림프망상계 종양
  • ● 피부섬유종, Dermatofibroma
  • ● 연성 섬유종, Soft fibroma
  • ● 비후성 반흔과 켈로이드,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 ●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정의>
피부 연부조직 육종 중 하나로 악성 정도는 낮은 편이다.


증상>
20대에서 50대 사이에 호발하고, 남자에 흔하다.
발생 부위는 체간, 팔, 두경부, 하지 순이다.
초기에는 딱딱하고 편평한 판으로 시작하며 색조는 갈색내지 청색이 도는 붉은색이다.
시간이 지나면 판은 커지고 판안에서 결절이 생긴다.
성장속도는 느리며 대개 무증상이다.

병리소견>
초기 병변은 피부 섬유종과 유사하다.
판 형성기에는 피하지방층을 침범하여 수평방향의 다중층 양상을 보이며 비정상 세포는 별로 없다.
결절이 나타나면 세포 수가 증가하고, 나선형(storiform) 형태, 유사 분열의 증가 등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다.
피하 지방층의 침범은 ‘honeycomb’ 혹은 ‘lace-like 형태를 보인다.
CD34에 대해 일반적으로 양성을 보이며 음성인 피부 섬유종과 구별된다.

치료>
외과적 절제나 모즈 미세도식 수술을 시행한다.
전이는 잘하지 않으나 국소적 재발은 흔하다.
청담오라클피부과의원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612 한일빌딩 1층
연락처 1800-7588
1577-1175(가까운 오라클피부과로 연결됩니다)
Copyright ⓒ OracleClinic Corp. All Rights Reserved.